경기도 (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도 (조선)은 고려 시대에 개성 일대를 관할하던 지역에서 유래하여, 조선 시대에 한성부(서울)를 포함한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1395년 경기도의 영역이 재조정되었고, 1413년 지금과 비슷한 경계선이 확립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4개 목, 7개 도호부, 7개 군, 19개 현을 관할했으며, 경기도 관찰사가 개성부 유수를 겸임했다. 주요 인물로는 안정복, 정약용, 최익현, 황진이, 이순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역사 - 백제
백제는 기원전 18년부터 660년까지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했던 고대 왕국으로, 고구려에서 온 온조왕이 건국하여 한성, 웅진, 사비로 수도를 옮기며 발전했고, 중국 남조 및 왜와의 교류를 통해 문화를 융성시켰으나 660년 신라-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했다. - 경기도의 역사 - 마한
마한은 기원전 3세기부터 5세기까지 한반도 서남부에 존재했던 소국 연맹으로, 농업 기반의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다 백제에 병합되었다. - 조선의 도 - 경상도
경상도는 한반도 동남부에 위치하여 신라, 가야, 고려, 조선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낙동강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으로, 부산, 대구, 울산 등의 주요 도시를 포함하고, '영남'이라고도 불리며, 대한민국 현대 정치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조선의 도 - 충청도
충청도는 충주와 청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고려 시대부터 행정 구역과 명칭이 여러 번 변경되었고, 1896년 충청남북도 분리, 1989년 대전광역시 분리,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등의 변화를 겪으며 대전, 천안, 청주 등을 주요 도시로 하는 지역이다.
경기도 (조선)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Gyeonggi Province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Kyŏnggi-do |
한글 표기 | 경기도 |
한자 표기 | 京畿道 |
평가나 표기 | けいきどう (히라가나) |
평가나 표기 | キョンギド (가타카나) |
약칭 | (정보 없음) |
통계 연도 | (정보 없음) |
면적 | (정보 없음) |
총 인구 | (정보 없음) |
남자 인구 | (정보 없음) |
여자 인구 | (정보 없음) |
인구 밀도 | (정보 없음) |
세대수 | (정보 없음) |
국가 | 대한민국 |
상위 행정 구역 | (정보 없음) |
하위 행정 구역 | (정보 없음) |
ISO 3166-2 | (정보 없음) |
행정 구역 분류 코드 | (정보 없음) |
나무 | (정보 없음) |
꽃 | (정보 없음) |
새 |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역사 | |
이전 행정 구역 명칭 | 경기도 (京畿道) |
토착 명칭 | 경기 |
구분 | 도(道) |
국가 | 조선 |
시대 | 근세 |
수도 | 한성부 |
수장 직함 | 관찰사 (종2품) |
수장 | (정보 없음) |
설치 시작 | 1395년 |
시작 사건 | 설치 |
종료 연도 | 1895년 |
종료 사건 | 해체 |
현재 위치 | 경기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개성시 황해북도 |
인구 통계 | (정보 없음) |
2. 역사
고려 시대에 경기도가 성립되었지만 현재의 경기도와는 달리 개성 일대에 한정된 지역을 관할했으며, 서울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은 양광도에 속해 있었다. 1390년(고려 공양왕 2년) 양광도, 교주도, 서해도에 있던 39개 현이 경기좌도, 경기우도로 분할되었다.
1394년(조선 태조 3년) 조선의 도읍으로 한성부를 정했으며, 1395년(조선 태조 4년) 경기도의 영역을 재조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안, 곡주, 연안 등 옛 경기도 북서부 지역이 풍해도(황해도)에 편입되었으며, 양주, 광주, 수원, 여주, 안성을 비롯한 옛 충청도 북부 지역이 경기도에 편입되었다.
1402년(조선 태종 2년) 경기좌우도를 경기좌우도성으로 명명했고, 1413년(조선 태종 13년) 지금과 비슷한 경기도의 경계선이 확립되었다.[1] 1414년(조선 태종 14년) 1월 18일 경기좌도와 경기우도가 경기도로 통합되었다.[2] 1435년(조선 세종 17년) 경기도 철원, 안협이 강원도에 이관되었고, 충청도 죽산이 경기도에 이관되었다.
조선의 도읍인 한성부는 외관직(지방 관청)이 아닌 경관직(중앙 관청)이었기 때문에 중앙 관료인 한성부 판윤이 통치했다. 1895년 실시된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이십삼부가 신설되면서 경기도는 한성부, 인천부, 충주부, 공주부, 개성부의 영역에 속하게 되었다. 1896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십삼도 중 하나인 경기도가 다시 신설되었다.
2. 1. 조선 초기
고려 시대에 경기도가 성립되었지만 현재의 경기도와는 달리 개성 일대에 한정된 지역을 관할했으며 서울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은 양광도에 속해 있었다. 1390년(고려 공양왕 2년)에는 양광도, 교주도, 서해도에 있던 39개 현이 경기좌도, 경기우도로 분할되었다.1394년(조선 태조 3년) 조선의 도읍으로 한성부를 정했으며 1395년(조선 태조 4년) 경기도의 영역을 재조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안, 곡주, 연안 등 옛 경기도 북서부 지역이 풍해도(황해도)에 편입되었으며 양주, 광주, 수원, 여주, 안성을 비롯한 옛 충청도 북부 지역이 경기도에 편입되었다.
1402년(조선 태종 2년) 경기좌우도를 경기좌우도성으로 명명했고 1413년(조선 태종 13년) 지금과 비슷한 경기도의 경계선이 확립되었다.[1] 1414년(조선 태종 14년) 1월 18일 경기좌도, 경기우도가 경기도로 통합되었다.[2] 1435년(세종 17년) 경기도 철원, 안협이 강원도에 이관되었고 충청도 죽산이 경기도에 이관되었다.
조선의 도읍인 한성부는 외관직(지방 관청)이 아닌 경관직(중앙 관청)이었기 때문에 중앙 관료인 한성부 판윤이 통치했다.
2. 2. 조선 중기 ~ 후기
고려 시대에 성립된 경기도는 현재의 경기도와 달리 개성 일대에 한정된 지역을 관할했으며, 서울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은 양광도에 속해 있었다. 1390년(고려 공양왕 2년) 양광도, 교주도, 서해도에 있던 39개 현(縣)이 경기좌도(京畿左道), 경기우도(京畿右道)로 분할되었다.1394년(조선 태조 3년) 조선의 도읍으로 한성부를 정했으며, 1395년(조선 태조 4년) 경기도의 영역을 재조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안(遂安), 곡주(谷州), 연안(延安) 등 옛 경기도 북서부 지역이 풍해도(豊海道, 황해도)에 편입되었으며, 양주(楊州), 광주(廣州), 수원(水原), 여주(驪州), 안성(安城)을 비롯한 옛 충청도 북부 지역이 경기도에 편입되었다.
1402년(조선 태종 2년) 경기좌우도를 경기좌우도성(京畿左右道省)으로 명명했고, 1413년(조선 태종 13년) 지금과 비슷한 경기도의 경계선이 확립되었다.[1] 1414년(조선 태종 14년) 1월 18일 경기좌도와 경기우도가 경기도로 통합되었다.[2] 1435년(조선 세종 17년) 경기도 철원(鐵原), 안협(安峽)이 강원도에 이관되었고, 충청도 죽산(竹山)이 경기도에 이관되었다.
조선의 도읍인 한성부는 외관직(外官職, 지방 관청)이 아닌 경관직(京官職, 중앙 관청)이었기 때문에 중앙 관료인 한성부 판윤(漢城府 判尹)이 통치했다. 1895년 실시된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이십삼부가 신설되면서 경기도는 한성부, 인천부, 충주부, 공주부, 개성부의 영역에 속하게 되었다. 1896년 실시된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십삼도 가운데 하나인 경기도가 다시 신설되었다.
3. 직제 및 행정 구역
조선 시대 법전인 경국대전에 따르면, 경기도는 4개의 목, 7개의 도호부, 7개의 군, 19개의 현을 관할했다. 경기 관찰사는 개성부 유수 중 1인이 겸임하는 것이 규정이었다.[3] 한성부와 각 유수부는 지방 관청인 외관직이 아닌, 중앙 관청인 경관직으로 편제되어 있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행정 구역과 수령의 품계는 조금씩 변화했다. 속대전(1746)과 대전통편(1785)에서는 목의 수가 3개로 줄고, 도호부의 수가 10개로 늘었다. 대전회통(1865)에서는 도호부의 수가 8개로 줄고, 군의 수가 10개로 늘었으며, 현령이 다스리는 현의 수가 4개로 줄고 현감이 다스리는 현의 수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풍덕이 혁파되고 금천이 시흥으로 개칭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수령과 그 품계 | 경국대전 (1484) | 속대전 (1746)·대전통편 (1785) | 대전회통 (1865) |
---|---|---|---|
부: 부윤(府尹), 종2품 | 광주 | ||
목: 목사(牧使), 정3품 | 4: 광주, 여주, 파주, 양주 | 3: 여주, 파주, 양주 | 3: 여주, 파주, 양주 |
부: 도호부사(都護府使), 종3품 | 7: 수원, 강화, 부평, 남양, 이천, 인천, 장단 | 10: 수원, 부평, 남양, 이천, 인천, 장단, 풍덕, 통진, 교동, 죽산 | 8: 부평, 남양, 이천, 인천, 장단, 통진, 교동, 죽산 |
군: 군수(郡守), 종4품 | 7: 양근군, 풍덕군, 안산, 삭녕군, 안성, 마전군, 고양 | 9: 양근군, 안산, 삭녕군, 안성, 마전군, 고양, 김포, 교하현, 가평 | 10: 양근군, 안산, 삭녕군, 안성, 마전군, 고양, 김포, 교하현, 가평, 영평 |
현: 현령(縣令), 종5품 | 5: 용인, 진위현, 영평, 양천, 김포 | 4: 용인, 진위현, 영평, 양천 | 4: 용인, 진위현, 양천, 시흥 |
현: 현감(縣監), 종6품 | 14: 지평, 포천, 적성, 과천, 금천현, 교동, 통진현, 교하현, 연천, 음죽현, 양성현, 양지, 가평, 죽산 | 9: 지평, 포천, 적성, 과천, 금천현, 연천, 음죽현, 양성현, 양지 | 8: 지평, 포천, 적성, 과천, 연천, 음죽현, 양성현, 양지 |
비고 | 한성부(판윤), 개성부(유수): 경관직 | 한성부(판윤), 개성부·강화부(유수): 경관직 | 한성부(판윤), 수원부·광주부·개성부·강화부(유수): 경관직, 풍덕 (혁파), 금천→시흥 개칭 |
3. 1. 행정 구역 목록 (경국대전 기준)
조선 시대의 법전인 경국대전에서는 경기도가 4개 목, 7개 도호부, 7개 군, 19개 현을 관할하며, 경기 관찰사는 개성부 유수 중 1인이 겸임한다고 규정했다.[3] 한성부와 각 유수부는 직제 상 지방 관청에 해당하는 외관직이 아닌, 중앙 관청에 해당하는 경관직으로 편제되어 있었다.4. 주요 인물
이름 | 주요 분야 |
---|---|
안정복 | 학자 |
정약용 | 학자 |
황진이 | 여류 시인 |
최익현 | 학자 |
조광조 | 정치가·학자 |
이항로 | 학자 |
이순신 | 장군 |
황희 | 정치가 |
서경덕 | 학자 |
이원익 | 정치가 |
이수광 | 정치가·학자 |
허준 | 의사 |
김홍도 | 화가 |
윤선도 | 정치가·가인 |
유형원 | 학자 |
유득공 | 학자 |
참조
[1]
웹인용
‘통일 한국의 중심 경기도 600년’ 기념행사
https://www.ggcf.kr/[...]
경기문화재단
2018-08-08
[2]
웹인용
경기도 600년 - 경기도사이버도서관
http://www.bookmagic[...]
경기도사이버도서관
2018-08-08
[3]
웹사이트
조선시대법령자료
https://db.history.g[...]
국사편찬위원회
2023-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